갑자기 온 추위로 인해 시동이 걸리지 않으시는 상황이 종종 발생하곤 합니다. 기온이 영하 10도까지 뚝 떨어졌기 때문입니다. 엔진이나 배터리를 교체해야 할 수도 있는 만큼 추운 날씨에 대비해 미리 차량 관리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지하에 주차하기
갑작스러운 추위에 대비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주차하는 방법입니다.
"지하"에 주차하는 것이 동결 온도를 피하는 열쇠입니다. 주행 중에는 엔진 온도가 수백도에 달할 수 있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지만, 정차 상태에서 차가운 온도에 장시간 노출되면 연료 필터나 가스 탱크의 수분이 증가하여 추운 날씨에 시동을 반복적으로 걸면 즉각적인 차량 고장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고압 분사식 자동차의 경우 더욱 그렇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겨울철에는 따뜻한 곳에 차를 주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급적이면 주차장 출구에서 떨어진 안쪽에 주차하시고 실외에 주차할 때는 벽에 기대거나 동쪽을 향해 주차하여 열기를 최소화하여야 합니다.
2. 미리 배터리 점검하기
자동차에서 추운 날씨에 가장 민감한 부품 중 하나는 배터리입니다. 12월에 보험회사로부터 긴급출동 서비스를 요청하는 가장 흔한 이유는 배터리 방전때문입니다. 배터리는 기온이 영하 10도 이하로 떨어지면 성능이 저하되기 시작하며, 상태에 따라 20~30% 이상 용량이 손실될 수 있습니다. 평소에는 쉽게 시동이 걸리던 자동차도 추운 날씨에는 시동이 걸리지 않을 수 있습니다. 5년 이상 된 배터리를 사용하거나 영하의 날씨에 배터리 방전으로 긴급출동 서비스를 받은 적이 있다면 배터리가 이미 방전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정비사에게 점검을 받아야 합니다. 교체하지 않고 방치하면 추운 날씨에 문제가 재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블랙박스가 배터리 방전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만큼, 겨울철에는 블랙박스의 '저전압 차단 설정'을 활용해 배터리 전압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자동으로 전원이 꺼지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3. 부동액 점검과 기름 채우기
한파가 닥치기 전에 자동차를 점검해야 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연료 필터도 그중 하나입니다. 디젤 차량의 경우 휘발유에 포함된 수분 이물질과 파라핀이 응고되어 점도가 높아져 흡기 저항이 커지고 시동이 잘 걸리지 않을 수 있습니다. 냉각수를 서너 번 연속으로 보충했다면 부동액 점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추운 날씨에 부동액을 잘못 교환하거나 혼합된 제품을 사용하면 엔진이 과열될 수 있습니다. 정비사가 부동액을 점검할 때 비중을 측정하는데, 비중은 섭씨 영하 30도 정도여야 합니다. 특히 전기 자동차의 경우 제조업체에서 권장하는 특수 부동액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겨울에는 가득 채우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가스 1 리터당 8km를 주행하더라도 추운 날씨 나 눈이 내리는 조건에서는이 수치가 5km로 떨어질 수 있습니다. 이는 연료 소비가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급적 연료탱크를 가득 채우는 것이 좋습니다.
4. 겨울철 자동차(차량)관리 요령 요약
타이어 관리: 겨울철에는 눈, 얼음, 비 등 다양한 날씨 조건에 대비하기 위해 스노우 타이어 또는 얼음용 타이어로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 각수 관리: 냉각수는 얼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겨울에는 냉각수 농도를 확인하고, 필요하다면 항동제를 추가해주세요. 터리 확인: 추운 날씨에는 차량 배터리가 빨리 방전될 수 있습니다. 배터리 상태를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만약 낡았다면 교체를 고려해보세요.
유리창 관리: 얼음이나 눈으로 인해 시야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스크레이퍼나 제습제를 사용하여 창문을 깨끗하게 유지하세요.
엔진 오일 교환: 추운 날씨에서는 엔진 오일의 노후가 빨라질 수 있습니다. 정기적인 엔진 오일 교환을 통해 차량 엔진을 보호하세요.
차량 세차: 도로에 뿌려진 소금이나 눈 속의 물질로 인해 차량 표면이 부식될 수 있습니다. 정기적으로 차량을 세차하여 청결을 유지하세요.
급정거 및 급가속 피하기: 눈이나 얼음이 쌓인 도로에서는 급정거나 급가속을 피하고 안전 운전에 힘쓰세요.
추위가 다가올때는 배터리와 냉각수 등이 잘 고장나므로 미리 차량을 점검하여야 하겠습니다.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울증에 좋은 방법: 해 보기 밤에는 반대 (0) | 2024.01.29 |
---|---|
탄소중립 실천포인튿제 포인트 얻는 방법, 홈페이지 (1) | 2024.01.26 |
세관 물품검사 과정에서 물품이 파손됐다면? (0) | 2024.01.24 |
'미스트롯3' 5회: 대학부 출신 윤서령 vs 여신부 염유리, 그리고 다양한 대결의 순간들 (0) | 2024.01.19 |
대상포진 겨울에 더 심해지는 대상포진, 치료방법 총정리 (0) | 2023.12.28 |